2013년 4월 11일 목요일

교사 1인당 담당 학생 수 변화가 수업의 효율성과 교실 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사 1인당 담당 학생 수 변화가 수업의 효율성과 교실 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사 1인당 담당 학생 수 변화가 수업의 효율성과 교실 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hwp


목차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 문제
1.3. 연구의 제한점

Ⅱ. 이론적 배경
2.1. 입력 가설
2.2. 입력 가설에 대한 비판
2.3. 상호작용 가설
2.4. 상호작용 가설이 한국 영어 교육에 시사하는 점

Ⅲ. 연구 방법 및 분석 방법
3.1. 현장 연구 방법론
3.2. 실험 수업의 배경
3.3. 연구 대상
3.4. 연구절차
3.4.1. 진단 평가
3.4.2. 실험 수업 실시
3.4.3. 형성 평가
3.4.4. 인터뷰
3.5. 측정 도구
3.6. 분석 방법
3.6.1. 진단 평가, 형성 평가 분석 방법
3.6.2. 실험 수업과 인터뷰 녹화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4.1. 진단 평가와 형성 평가의 점수를 통한 통계적 분석 결과
4.1.1. 진단 평가 통계적 분석 결과
4.1.2. 형성 평가 통계적 분석 결과
4.1.3. 통계 분석 종합
4.2. 교사 대 학생 수의 비율과 학생 상호작용의 상관관계
4.2.1.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
4.2.2.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
4.2.3. 교사 대 학생의 비율이 같은 1:15 및 2:30 반 비교
4.3. 상호작용 기회의 차이가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Ⅴ. 요약 및 시사점
5.1. 연구 요약
5.2. 교육적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1: 실험 수업 Lesson Plan
부록 2: 진단 평가지
부록 3: 형성 평가지


<표 1> 실험 수업 대상

<표 2> 각 집단의 진단 평가 기술 통계

<표 3> 각 집단의 진단 평가 평균 ANOVA

<표4> 각 집단의 형성 평가 기술 통계

<표 5> 각 집단의 형성 평가 평균의 ANOVA

<표 6> 1:15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 진술




본문
Ⅰ. 서론

1.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학교 영어교육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로 많은 사람들이 학교 영어교육과 영어의 실제 사용 능력에 대한 괴리를 지적한다. 한국의 대부분의 학생들이 초등학생 3학년부터 고등학생 3학년까지, 총 10년간 학교에서 영어를 학습한다. 하지만 10년이라는 장기간의 영어 학습을 받은 뒤에도 영어를 실제로 말하거나 쓰는 데 있어서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부족함을 느낀다. 예를 들어, 독일에서는 학교에서 배우는 정규 영어 교육 과정만 수료해도 무리 없이 영어로 회화가 가능하나 한국 사람들은 외국인과 영어로 의사소통하는 것에 대해 불안해하는 경우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남정미, 2011).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의 주요 원인이 학생들이 학교 영어교육을 받을 때 교사 또는 동료 학생들과 충분한 상호작용을 가지지 못함으로 인해 영어를 사용해 음성언어 혹은 문자언어로 표출할 기회를 충분히 가지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가정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의 상호작용과 영어 실력 향상의 상관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를 우선 살펴보고 그러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수행한 비교 실험에 대해 고찰한다. 학생들이 교사 또는 동료학생들과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더 많이 영어로 발화할 기회를 가지면 영어능력 향상 폭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실제적 증거를 제시하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겠다.

1.2.연구문제

본 연구를 통해 증명하고자 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한 명당 교실에서 담당하는 학생의 수가 적을수록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 혹은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이 늘어나는가?

둘째, 교사 대 학생의 비율이 같더라도 교사와 학생의 절대적인 수가 다르면 학생들이 보이는 상호작용의 빈도수도 달라지는가? (예시. 교사와 학생 수의 비율이 1:15인 경우와 팀 티칭과 같이 2:30인 경우)

셋째,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 혹은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의 증가가 학생들의 성적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가?

넷째, 동료 학생 혹은 교사와의 상호작용 양의 차이에 따라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은 어떤 차이를 보일 것인가?


1.3.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갖는다.

첫째,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중앙대학교 부속 중학교 3학년 학생에 국한되어 있으므로 연구의 결과를 다른 지역 및 다른 참여자들에게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둘째, 실험 수업을 장기간 수행한 후 연구 결과를 도출해 낸 것이 아니기 때문에 비슷한 성격의 종적 연구를 참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문내용
구의 제한점
Ⅱ. 이론적 배경
2.1. 입력 가설
2.2. 입력 가설에 대한 비판
2.3. 상호작용 가설
2.4. 상호작용 가설이 한국 영어 교육에 시사하는 점
Ⅲ. 연구 방법 및 분석 방법
3.1. 현장 연구 방법론
3.2. 실험 수업의 배경
3.3. 연구 대상
3.4. 연구절차
3.4.1. 진단 평가
3.4.2. 실험 수업 실시
3.4.3. 형성 평가
3.4.4. 인터뷰
3.5. 측정 도구
3.6. 분석 방법
3.6.1. 진단 평가, 형성 평가 분석 방법
3.6.2. 실험 수업과 인터뷰 녹화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4.1. 진단 평가와 형성 평가의 점수를 통한 통계적 분석 결과
4.1.1. 진단 평가 통계적 분석 결과
4.1.2. 형성 평가 통계적 분석 결과
4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