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4월 11일 목요일

고문운동 고문운동 고문운동 A+ 완전정리

고문운동 고문운동 고문운동 A+ 완전정리
고문운동 A+ 완전정리.hwp


목차
1. 고문운동의 정의

2. 변체문의 특징

3. 고문운동의 성립

4. 한유와 유종원의 고문운동

5. 고문운동의 발생원인

6. 고문운동의 발전

7. 고문운동의 의의

8. 고문운동의 단점

9. 고문운동과 중국 르네상스

10. 참고자료

본문
1. 고문운동의 정의

보통 중국 산문은 문장 구성의 기본인 한자의 특성에 따라, 간결미 암시성 장식성 등 세 가지의 특징이 있다. 그리고 문장 형식은 선진 때 《논어》 《맹자》 《장자》 《순자》 《한비자》 등 제가의 의론문에서 기틀이 잡히고, 한대에는 가의의 《치안책》 《과진론》 등과 같이 논책문과 좌구명이 지었다는 《춘추좌씨전》, 사마천의 《사기》 등에 쓰인 서사문으로 발전하였다. 이때까지도 문장의 기본 형식은 기록과 의사전달이 주목적이어서 장식성보다는 간결미와 암시성이 추구되었다. 그러나 육조시대에 들어와, 중국 산문은 현저하게 장식성을 띠게 되었다. 이는 불교의 전래로 불경 번역이 활발해짐에 따라 중국어의 음운이론이 전개되기 시작하였고, 중국어의 성률미도 추구하게 된 때문이었다. 따라서 육조시대에는 4 6, 4 6으로 글자를 배치하여 그 리듬을 이용한 산문을 즐겨 쓰게 되었는데, 이것이 사륙변려체 문장이며, 사륙문(四六文)이라고 약칭한다. 그 후 산문 격식이 점차 엄정해져서 배우대구는 물론, 사조, 음률의 화해 및 전고의 사용까지도 따지게 되어, 산문의 생리인 사상 감정의 표현 전달이나 사실의 기록에는 불편한 형식으로 굳어졌다. 이에 다시, 문체상 선진 양한 시대의 문장 형식과 내용의 전통을 회복하자는 운동이 일어났으며, 이것이 고문부흥운동이다. 따라서 고문과 변문은 서로 대립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이 운동은 위진육조 이래 성행한 변려문에 대한 일종의 반동으로 생각할 수 있다. 고문부흥운동이 제창되고, 성공하게 된 가장 큰 원인은, 변려문이 지나치게 교유주작하고 도공도식에만 치중하여, 정당한 의사와 정서의 표현 전달을 둘째로 미루었기 때문이다. 또 이는 한말부터 위진시대에 걸친 사회 혼란을 틈타 민간에 퍼지기 시작한 외래 불교사상에 대항하여, 침체하였던 유학의 전통을 다시 찾고, 이를 선양하기 위한 문풍 문체 및 문학언어의 개혁운동이기도 하였다. 이 운동은 당(唐)나라 한유 유종원 등에 의하여 열매를 맺어 산문문학의 주류가 되었고, 변려문은 공문 서식에만 쓰이게 되었으나, 그 운동의 근원은 육조시대 중엽까지 소급한다. 즉, 위제의 제묘에서, 우문태가 소작에게 명하여 《대고》를 짓게 한 것이나, 수문제 때 이악이 당시 문단을 휩쓸던 제(齊) 양(梁)의 화미한 문체를 바로잡아야 한다고 상주한 예는 고문부흥운동의 시초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주장은 결실되지 못하였으며 당대(唐代)에 이르기까지 사륙변려의 기풍이 계속되었다. 당대에도 한유 유종원 등에 앞서, 유면이 선구적으로 고문운동을 제창하였으나 역시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고 당무제 때 진자앙이 또한 육조 변려문풍의 개혁을 주장하였으나 그 목표가 시가(詩歌)에만 국한되어 널리 보급되지 못하였다. 그러다가 개원 천보 연대에 이르러, 소영사 이화 등이 적극 배기를 배척하고 자연으로 복귀할 것을 주장하여 고문부흥운동의 성과를 거두게 되었다.

본문내용
선진 때 《논어》 《맹자》 《장자》 《순자》 《한비자》 등 제가의 의론문에서 기틀이 잡히고, 한대에는 가의의 《치안책》 《과진론》 등과 같이 논책문과 좌구명이 지었다는 《춘추좌씨전》, 사마천의 《사기》 등에 쓰인 서사문으로 발전하였다. 이때까지도 문장의 기본 형식은 기록과 의사전달이 주목적이어서 장식성보다는 간결미와 암시성이 추구되었다. 그러나 육조시대에 들어와, 중국 산문은 현저하게 장식성을 띠게 되었다. 이는 불교의 전래로 불경 번역이 활발해짐에 따라 중국어의 음운이론이 전개되기 시작하였고, 중국어의 성률미도 추구하게 된 때문이었다. 따라서 육조시대에는 4 6, 4 6으로 글자를 배치하여 그 리듬을 이용한 산문을 즐겨 쓰게 되었는데, 이것이 사륙변려체 문장이며, 사륙문(四六文)이라고 약칭한다. 그 후

참고문헌
정범진, 중국문학사, 학연사
임종욱, 중국의 문예인식-그 이념의 역사적 전개, 이회문화사
허용구, 중국역사와 문학
김학주, 중국문학의 이해, 신아사

하고 싶은 말
지난 학기에 중간고사 대체 레포트로 작성했던 A+ 보고서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