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4월 20일 토요일

인사행정 영광의 깃발 영화 분석

인사행정 영광의 깃발 영화 분석
[인사행정] 영광의 깃발 영화 분석.hwp


목차

Ⅰ. 서론

1. 영화에 관한 전반적 소개
2. 영화에 나타난 인사행정의 주요 요소
3. 영화 속 인사행정 주요쟁점 소개 및 논의의 방향 제시



Ⅱ. 동기부여이론을 통한 영화 속 인물 분석 및 인사행정 함의점 정리
(관련문헌 및 이론 검토 포함)

1. PSM개념을 이용한 인물 분석
2. Alderfer의 ERG이론을 통한 인물 분석
3. Vroom의 기대이론을 통한 인물 분석
4. 인사행정관련 주요 함의 정리



Ⅲ. 결론

1. 문제에 대한 다양한 해결책 논의 : 한국인의 고유한 특성 정(情)
2. Best solution 선택 : 정(情)의 특성과 조직문화
3. Best soulution의 구체적 내용 :
정(情)이란 개념이 조직문화, 그리고 PSM에 주는 논의
4. 보고서를 나오며




본문
Ⅰ 서 론

1. 영화에 관한 전반적 소개

영화의 배경은 1861 ~ 1865년에 일어났던 미국의 남북전쟁이다. 메사추세스주 보스턴의 명문가 아들인 로버트 굴드 쇼는 남북전쟁에 참가하기 위해서 입대를 했다. 대위계급으로 참전 중 부상을 입고 보스턴으로 돌아오게 된다. 이후 흑인지도자의 제안을 받아들여 대위에서 대령으로의 진급과 함께 메사추세스 54연대 연대장으로 발탁이 된다.
약 1000명의 흑인들이 군대에 자원을 했지만 훈련이 전혀 되지 않은 오합지졸인 상태였기 때문에 강도 높은 훈련을 시켰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흑인이란 이유로 비인간적인, 노예적인 형태의 대우도 발생하였다.
로버트(매튜 브로데릭)는 지휘관으로서 흑인부대 전체를 통솔해야할 의무가 있기 때문에 흑인들을 강력한 법에 의한 방식으로 지휘하려 하였다. 이 과정에서 그의 친구인 포브스(캐리 웰위스)와 갈등을 일으키고 그 스스로 많은 갈등을 겪는다.
그러나 로버트는 점차적으로 흑인들에 인식이 매우 긍정적으로 변화하게 되어간다. 훈련 중 흑인부대는 군화를 보급 받지 못하고, 그들의 다리는 피범벅이 되어갔다. 게다가 이로 인하여 탈영한 흑인 병사(덴젤 워싱턴)가 생기기 시작하였다. 또 보수적 측면에서는 흑인이라는 이유로 일반 백인 정규군에 비해 급여를 적게 받았다. 이에 대한 흑인들의 반발들을 로버트 대령은 지켜보며 많은 생각을 한다.
즉, 흑인에 대한 차별을 명확하게 인식함과 동시에 그는 행동과 마음으로 이 차별을 시정하며 부대를 하나로 엮으려 한다. 사단급 보급부대에 가서는 군화를 얻기 위하여 강력한 항의를 하고, 백인보다 낮은 급여를 지급받는 것에 대해서는 로버트 대령 자신도 급여를 거부함으로써 하나됨을 이끌어 낸다.
그러나 흑인부대가 하나가 되고, 강력한 훈련을 통한 부대로 거듭났어도 인종적인 편견 때문에 사역 작업이나 약탈 작업에만 투입될 뿐 전선에는 배제되었다. 로버트 대령은 노력 끝에 사우스 캐롤라이나 제임스 아일랜드에서 전투에 참여하게 되고 그 곳에서 큰 공을 세우게 된다.
이후 로버트 대령이 이끄는 메사추세스 54연대는 난공불략인 와그너 요새의 선두 공격을 스스로 지원한다. 전투에 떠나는 길에서 타 연대 백인 군인들은 흑인부대를 응원해주고 흑인 군인들은 드디어 자신들이 북미군의 군인으로서, 또 나라를 지킬 수 있는 인간으로서의 자긍심을 느끼게 된다. 와그너 요새 공격 과정에서 로버트 대령과 부대의 절반에 달하는 흑인병사들은 전사하며 영화는 막을 내린다.
이 영화는 실화를 바탕으로 하였으며, 이 후 실제 18만 명에 이르는 흑인병사들이 군대에 지원했으며, 링컨은 이를 두고 남북전쟁의 승리의 가장 큰 원동력이었다고 말하였다고 한다.




본문내용
제시
Ⅱ. 동기부여이론을 통한 영화 속 인물 분석 및 인사행정 함의점 정리
(관련문헌 및 이론 검토 포함)
1. PSM개념을 이용한 인물 분석
2. Alderfer의 ERG이론을 통한 인물 분석
3. Vroom의 기대이론을 통한 인물 분석
4. 인사행정관련 주요 함의 정리
Ⅲ. 결론
1. 문제에 대한 다양한 해결책 논의 : 한국인의 고유한 특성 정(情)
2. Best solution 선택 : 정(情)의 특성과 조직문화
3. Best soulution의 구체적 내용 :
정(情)이란 개념이 조직문화, 그리고 PSM에 주는 논의
4. 보고서를 나오며
본 보고서는 영화 속에서 문제점을 찾아내기보다는 영화 속 인물들의 동기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그 동기와 리더십이론을 바탕으로 전체적인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이라는

참고문헌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 인사행정론(2011) 박성민교수님-Public Service Motivation (hand out)
리더십 유형이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내재적 동기부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의용,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2010.2
Crewson(1997)은 archival data를 이용, PSM이 조직몰입도와 긍정적인 관계가 있음을 발견했다. Naff & Crum (1999) 또한 연방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를 통해서 PSM과 직무만족도에 의미 있는 관계가 있음을 제시했다
김석주, 동기부여 이론에 대한 소고(A Critical Study on the Motivation Theory), 공공정책 연구소, vol. 11, No.2, 1993
교육한 용어사전,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한국행정학 유민봉
정(情)의 조직문화 개발의 필요성과 방향, 김응수 경희대 : 결론에서 PSM에 관한 논의 도출의 내용적인 출처는 대다수 이 논문에서 인용하였습니다.
[한미동맹 업그레이드]오바마, 한국어로 “정” “건배” MB와 “우린 친구” 동아일보 2011-10-15
PSM과 공무원의 업무성과, 이근주, 이화여자대학교 행정학과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