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4월 16일 화요일

애플의 오픈이노베이션 경영전략

애플의 오픈이노베이션 경영전략
애플의 오픈이노베이션 경영전략.hwp


목차

Ⅰ환경의 변화(지식기반 사회의 도래)
1. 지식재산(IP)의 진화경제학적 측면
(1) 분업과 협업의 공진화 과정
(2) 적응 가능성과 생존 확률
(3) 소결

2. 수확체증경제론
(1) 신 슘페터 성장모형
(2) 애로우 가설
(3) 경로의존성 효과
3. 기술경제에서 지식경제로 전환
(1) 기술경제의 한계
(2) 지식경제의 도래


Ⅱ지식 재산(IP)의 특성
1 지식과 지식재산
(1) 비즈니스모델의 총합
(2) 수확체중의 원리 작동
2 산업지식 재산권의 확장
(1) 특허대상의 확장
(2) 미국의 선출원주의 전환
3 영업비밀과 노하우의 기능
(1) 영업비밀의 요건
(2) 영업미빌의 역할

Ⅲ오픈이노베이션
가. 등장배경
나. 경제원리
1 네트워크 외부성과 학습
(1) 네트워크의 상호작용
(2) NIH 신드롬 현상
2 오픈이노베이션의 개념
(1) 자산(Assets)의 촉매제
(2) 기업의 외부자원 의존도
(3) 오픈이노베이션 기업문화

3 R&D와 오픈이노베이션
(1) R&D 투자 효율
(2) R&D와 기술이전


다. 오픈이노베이션의 사례
1 미국 대학의 기술이전 사례“CCTEC”(코넬기술이전센터)
2 제록스 폴로알토연구소의 사례
3 P&G의 C&D 사례

Ⅳ애플의 오픈이노베이션 전략
가. 애플의 지식재산 창출 환경
1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병행개발
(1) 통합 제품이론(whole-product theory)
(2) 아이팟 오픈이노베이션 사례
(3) 비즈니스모델 설계
(4) 비즈니스 모델의 개념과 중요성-애플의 비즈니스 모델 집중 분석

2 디자인 사용자 편의성
(1) 애플의 디자인 전략
(2) 애플의 인터페이스 혁신


3 애플의 지식재산 경영전략
(1) 플랫폼 비즈니스모델
(2) 비즈니스모델의 공진화

4 애플의 비밀주의 기업문화
(1) 영업비밀의 생활화
(2) 비밀유지 계약

5 애플의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


나. 애플의 오픈이노베이션 경영전략
1 오픈이노베이션 학습방법
(1) 기술혁신 근시안에 빠진 애플
(2) 모방의 독창성
(3) 애플의 기술대중주의

2 애플의 기술융합 전략
(1) 반보 전략(기술의 Fast Second, 제품의 first mover)
(2) 애플의 IP확장 전략
(3) 애플의 특허포트폴리오
(4) 오픈이노베이션을 이용한 특허블록

3 애플의 오픈이노베이션 경영전략
(1) 기존기술의 융합
(2) 애플의 디자인 혁신(IP 확장)
(3) 소 결


Ⅴ애플의 핵심 키워드 정리




본문
의 변화(지식기반 사회의 도래)
경제학의 아버지로 지칭되는 아담스미스(Adam Smith, 1723-1790)는 ‘국부론(the wealth of nation)’에서 “발명과 기술의 변화가 국가의 부를 창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발명보다는 노동의 역할에 주목하였지만 노동을 편리하게 하고 노동시간을 단축하는 기능의 발명 그 자체를 노동의 영역에 포함시켰다. 아담스미스는 노동을 발명의 선행 과정으로 보았으며, 핀 공장의 작업 사례를 들어서 ‘분업’과 함께 ‘협업’의 중요성을 최초로 언급했다. 인간의 노동은 생산성의 측면 외에도 사회문화를 창조하는 기능을 수행 하는 점을 아담스미스는 간과한 것으로 보인다.
1911년 “과학적 관리법의 원리”가 프레데릭 테일러에 의해 출판 된지 100년이 지난 오늘날은 21세기 창의성 기반경제로 변하였다. 이제는 상품의 제조생산 뿐만 아니라 특허, 디자인, 브랜드, 영업비밀 같은 지식재산이 기업의 무형자산 가치를 높이는 시대가 되었다.
런던비즈니스 스쿨의 개리하멜은 핵심역량(core competence)의 개념을 설명하며 지식을 아웃소싱 하는 대표적인 기업으로 ‘애플’의 오픈이노베이션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글로벌 경제의 복잡계 사회에서는 최고의 생산시스템, 최고의 제품, 최고의 회사도 없으며 어떤 고객을 어떻게 상대하느냐에 따라서 기업의 생존여부가 결정된다. 최고가 되기 위한 경쟁에서 ‘독창성을 갖기 위한 경쟁’으로 게임의 규칙이 바뀌고 있는 것이다.

1. 지식재산(IP)의 진화경제학적 측면
다윈(Charles Robert Darwin, 1809-1882)5)은 진화론을 통해서 “인간은자신의 이익을 위해 선택하고, 자연은 자신이 돌보는 생물의 이익을 위해 선택한다”라는 자연선택설을 주장한다. 진화 경제학은 시장 메커니즘도 자연과 마찬가지로 상호작용에 의해 어떻게 변화할지 예측하기 어려운 스스로 진화하는 시스템이라고 가정한다. 산업 유형은 자원중심에서 생산력 중심으로, 다시 기술력 위주로 그리고 감성기술의 창조적 가치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지식정보화 사회는 지식의 공유(共有)가 일상적으로 일어나고 필요한 기술을 선택 가능하다. 또한, 경쟁논리 보다도 협력 파트너를 찾는 것이 기업의 생존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시장의 선택을 받기 위해 기존시장을 포기하는 제로섬게임이 아니라는 것이다.

(1) 분업과 협업의 공진화 과정
강한 기업이 이기는 시장이 아니고 기업의 목적은 이윤추구에서 ‘생존’으로 전환되고 있다. 즉, 이제는 기업이 고객의 선택을 받는다는 ‘분업’과 ‘협업’의과정이다. 경제는 상대방이 있는 시장 환경으로, 기업은 생존을 위해 산업 생태계와 함께 공진화(coevolution)하는 협업과 고객 경험을 창조하는 참여와 협력의 진화과정으로 설명될 수 있다.
기업은 다른 기업과 협업이나 외부 기술과의 융합을 통한 신제품은 사용자의 경험과 참여를 통해 마케팅을 진행하고 브랜드 충성도를 강화시키게 된다. 인터넷 기반의 플랫폼 비즈니스의 특성은 사용자가 참여할수록 고객의 가치가
증가하는, 수확체감이 아닌 수확체증의 법칙이 작동하는 공진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전 세계적인 금융위기 이후로 기존 경제학이 권위를 잃어가고 있는 이유 중의 하나는 18세기 과학 혁명의 영향으로 뉴턴의 ‘물리학’적 방식으로 시장을 이해하고 예측하려고 했다. 그러나 시장은 물리학의 세계처럼 질서정연하지 않고, 오히려 ‘생물학’의 세계처럼 인간이 오랫동안 축적해온 산물(상호작용)에 의해 ‘진화’(적응과 번식)한다고 진화경제학은 설명한다. 보편적인 경제행위는 ‘네가 받고 싶은 만큼 다른 사람에게 행하라’라는 상호성 원칙에 근거하여 협업, 형평성, 공유, 계약 등의 형태로 나타난다.

(2) 적응 가능성과 생존 확률
인간사회에서 생존하고 번식하기 위해 유지해야 할 ‘가장 적응력 높은’ 태도는 ‘협력’과 ‘이타주의’라는 맥락 안에서 사회적 화합을 유지하기 위해 공정성이 ‘진화적 안정전략(evolutionary stable strategy)을 선택하게 되었다. 상호 협력하는 이타적 선택이 생존확률이 더 크기 때문에 진화적 안정전략이 선택된다고 한다. 이기심이 진화를 추동했다기 보다는 실제로 진화를 이루어낸 것은 ‘적응 가능성’이었다.
경제적 인간은 자기이익, 자유의지라는 관념의 결과 이기적 존재로 인식되었고, 인간의 선택과 결정은 언제나 효율성에 따라 행동한다는 오류를 가져왔지만, 인간은 때로는 감정적이고 비합리적으로 행동한다. 즉, 기업을 생명체로 본다면 경쟁우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식재산을 융합하고, 이를 위해서 다른 기업과 협업하는 오픈이노베이션을해야 하고, 통합적인 지식재산 경영전략으로써 선도기업의 차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진화적 ‘굴절적응이란 어떤 것이 원래 특정한 목적을 위해 진화되었으나 나중에는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말하는데, 다윈은 비록 어떤 한 기관이 원래 목적했던 대로 형성되지는 않았어도 기능 수행에 문제가 없다면 그 목적을 위해 고안된 기관이라 해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생명체의 모든 부분은 약간만 변형이 가해진 상태에서도 다양한 목적을 위해 복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면, 펭귄의 날개는 비행기능은 퇴화되었지만 바다 속을 유영하는데 잘 적응되었다고 볼 수 있다.
기술의 발전도 생물의 굴절적응 과정과 같이 개발 당시의 목적과 다르게 사회경제 환경에 적응하거나 다른 산업분야에서 부가적인 기능이 주요 기능으로 대체되기도 한다. 대표적인 사례는 냉전시대의 군사목적으로 개발된 인터넷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합리적 선택이론(rational choice theory)에서 의사결정은 효용을 극대화하는 경로를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현실은 완전경쟁이 아니며 우리는 항상 합리적 선택을 하는 것은 아니다.



본문내용
김태현
경영학과
06‘ 송태욱
국제경영학과
07‘ 김지영
국제경영학과
07‘ 박중수
국제경영학과
07‘ 김서희
목차
Ⅰ환경의 변화(지식기반 사회의 도래)

1
1. 지식재산(IP)의 진화경제학적 측면

1
(1) 분업과 협업의 공진화 과정

1
(2) 적응 가능성과 생존 확률

1
(3) 소결

2
2. 수확체증경제론

2
(1) 신 슘페터 성장모형

2
(2) 애로우 가설

2
(3) 경로의존성 효과

3
3. 기술경제에서 지식경제로 전환

3
(1) 기술경제의 한계

3
(2) 지식경제의 도래

4
Ⅱ지식 재산(IP)의 특성

4
1 지식과 지식재산

4
(1) 비즈니스모델의 총합

4
(2) 수확체중의 원리 작동

4
2 산업지식 재산권의 확장

5
(1) 특허대상의 확장

5
(2) 미국의 선출원
 

댓글 없음:

댓글 쓰기